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

센터홍보실

10월 노원구가족센터 뉴스레터(부모역할지원사업_유·아동기아버지교육)에 대한 게시글입니다.

제목과 작성일, 작성자, 조회수, 첨부파일, 내용을 제공합니다.

10월 노원구가족센터 뉴스레터(부모역할지원사업_유·아동기아버지교육)

  • 작성일2022-11-04
  • 작성자하선아
  • 조회수2851

이미지
이미지 10 이미지
이미지
 
 
이미지
신체활동과 보드게임을 통해 아빠와 가까워지는 시간
 
‘유·아동기 아버지교육’ 
이미지
“함께 몸으로 놀아주며 아이와 유대감이 향상 되었습니다”
“보드게임으로 가족 내 화목을 돈독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았습니다.”
 
이미지   이미지
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사진1]  유아기 아버지교육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사진2]  아동기 아버지교육
 
? 유아기아버지교육 2022년 10월12일 (수요일) 19:30-21:00, 10월 15일~10월 29일 (매주 토요일) 10:00-12:00
? 아동기아버지교육 2022년 10월13일 (목요일) 19:30-21:00, 10월 16일~10월 30일 (매주 일요일) 13:00-15:00

 

노원구가족센터에서는 관내 부-자녀를 대상으로 관계 향상을 위해 유아기 아버지교육을 1012(), 1015~29(매주 토), 아동기 아버지교육을 1013(), 1016~30(매주 일)에 진행하였습니다.
3주의 시간 동안 유아기 자녀와 아버지는 신체활동, 고학년 아동기 자녀와 아버지는 보드게임 활동을 함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.

특히 유아기 아버지교육은 5-7세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1012일에 유아기 자녀의 발달 특징과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 지식을 습득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후 1015~29(매주 토)에는 풍선, 빌리보, 신문, 포스트잇, 비눗방울, 종이컵 등 다양한 놀이 도구를 활용하여 신나는 놀이 시간을 가졌습니다. 교육 종료 이후 참여자는 "함께 몸으로 놀아주며 아이와의 유대감이 향상 되었습니다.", "주말마다 아이와 재미있게 놀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." 등의 소감을 나누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

또한 아동기 아버지교육은 11-13세 자녀를 양육하는 초등 고학년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1013일에 아동기 자녀 발달 특징과 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 지식을 습득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후 1016~30(매주 일)에는 당나귀 게임, 저스트 원, 카멜레온, 캐치스케치, 쏘 클로버 등 다양한 게임을 활용하여 신나는 보드게임 시간을 가졌습니다. 교육 종료 이후 참여자는 "보드게임으로 가족 내 화목을 돈독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았습니다.", "예민한 성장기 자녀와 거리가 좁혀졌습니다.", "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 할것 같습니다."등의 긍정적인 소감을 전했습니다.

앞으로도 노원구가족센터는 지역사회 내 부-자녀의 유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겠습니다!

 
[신청 및 문의] 가족사업1팀 김율리 ( 070-4613-0621 )
 
 
 
  이미지  
아이돌봄서비스 02-979-3501(ARS 1번)
다문화가족사업 02-979-3501(ARS 2번)
개인 및 가족상담 02-979-3501(ARS 3번)
 
기타사업안내 02-979-3501(ARS 4번)
센터운영 02-979-3501(ARS 5번)
공동육아나눔터 02-979-3501(ARS 6번)
 
 
 

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73가길 94(가온빌딩 3층)

Copyright ⓒ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. All rights reserved.

이미지   이미지   이미지  
 
이전,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전글 [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] 동복댐 내년 3년 말 고갈 위기, 시민들의 물절약 실천 절실 안내
다음글 [광산구청]국내체류 외국인 코로나19 백신 동절기 추가접종 관련 다국어 안내문 홍보

만족도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?

평가하기